본문 바로가기
고서(古書)

동의 보감(東醫 寶鑑)

by 골동품 고서 고문서 근대사 갤러리 진품명품 2007. 3. 21.

종    목 보물  제1085호
명     칭 동의보감(東醫寶鑑)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활자본/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25권25책
지 정 일 1991.09.30
소 재 지 서울 서초구  반포동 산60-1 국립중앙도서관
시     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중앙도서관
일반설명 | 전문설명
허준선생(許浚先生)(1546∼1615)은 자(字)는 청원(淸源), 호(號)는 구암(龜岩), 본관(本貫)은 양천(陽川), 부사(府使) 논( )의 서자, 경상우수사(慶尙右水使) 곤(琨)의 손자. 선조(先祖)7년(年)(1574)에 의과(醫科)에 급제하여, 이듬해 내의원(內醫院)의 의관(醫官)이 되었다.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어의(御醫)로서 왕을 호종(扈從)하여 의주(義州)까지 갔으며 그 공으로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3등이 되어 1606년 양평군(陽平君)에 봉해지고 숭록대부(崇祿大夫)의 품계에 올랐으나, 중인(中人) 출신에게 과도하다 하여 대간(臺諫)의 반대로 취소되었다. 1608년 선조가 죽자, 치료를 소홀히 했다는 죄로 한때 파면되었다. 광해군 2년(1610), 16년간의 연구 끝에 25권의 의서(醫書)「동의보감(東醫寶鑑)」을 완성했으며, 의서(醫書)의 국역(國譯)에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 저서로는「동의보감(東醫寶鑑)」을 비롯하여 언해구급방(諺解救急方), 언해두창집요(諺解痘瘡集要), 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 신찬벽온방(新纂 瘟方), 벽역신방( 疫神方) 등이 있고, 찬도방론맥결집성(纂圖方論脈訣集成)을 교정(校正)하였다.

동의보감(東醫寶鑑)은 우리 나라와 중국(中國)의 의서(醫書)를 모아 집대성(集大成)한 한의학(漢醫學)의 백과전서(百科全書). 선조(宣祖)29년(年)(1596) 태의(太醫) 허준(許浚)이 선조(宣祖)의 명(命)을 받아 정작(鄭 ) ·양예수(楊禮壽) ·김응탁(金應鐸) ·이명원(李命源) ·정예남(鄭禮男) 등과 함께 찬집(撰集)하게 되었는데 정유재란(丁酉再亂)(1597)으로 중단되었다가, 그 후 선조가 다시 허준(許浚)에게 단독으로 찬성(撰成)케 하고 내각장서(內閣藏書)인 방서(方書) 500권을 내어주어 고증(考證)하게 하였는데, 광해군(光海君)2년(年)(1610)에 완성(完成)되어 동(同)5년(年)(1613)에 내의원(內醫院)에서 훈련도감활자(訓鍊都監活字)로 간행(刊行)하였다.

감교관(監校官)은 내의원(內醫院)의 직장(直長) 이희헌(李希憲), 부봉사(副奉事) 윤지미(尹知微)였고, 광해군(光海君)3년(年)(1611) 이정구(李廷龜)가 쓴 서문(序文)을 붙였다.

이 책은 목록상(目錄上) ·하(下) 2권, 내경편(內景篇) 4권, 외형편(外形篇) 4권, 잡병편(雜病篇) 11권, 탕액편(湯液篇) 3권, 침구편(針灸篇) 1권 등 25권 25책으로 되었다.

본서(本書)는 그 뒤에 영령(嶺營)과 완영(完營) 등에서 목판본(木版本)으로 중간(重刊)하였으며, 일본(日本)에서는 향보(享保)9년(年)(1724)에, 중국(中國)에서는 광서(光緖)16년(年)(1890)에 각각 출간(出刊)한 바도 있다.

본서(本書)는 국립중앙도서관(國立中央圖書館) 소장본(所藏本)으로 만력(萬曆)42년(年) 즉, 광해(光海)6년(年)(1614) 2월(月)에 오대산사고(五臺山史庫)에 내사(內賜)한 것이다. 이 훈련도감자판(訓鍊都監字版) 초간본(初刊本)이 국립중앙도서관(國立中央圖書館) 소장본(所藏本)을 비롯하여 규장각(奎章閣) ·장서각(藏書閣)(정문연(精文硏)) 등에 완질(完帙)이 수장(收藏)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