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서(古書)264

조한사례십삼절(朝漢四禮十三節) 품   명  조한사례십삼절(朝漢四禮十三節)  24.청도 경 구 10시   대  1925년(대정14년)  크  기   :19.8*18.5센치 주   기  경북울산 이승락 발행 관 혼 상 제  13절로 한글 표기 2025. 2. 17.
조선환여승람 (괴산) 품   명  조선환여승람 (괴산)  24.2.대 한 구 16크   기   20.5*30.5시    대  1935주    기 1책. 목판 및 목활자본.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1910년부터 1937년까지 전국 241개 군 중 129개 군의 인문 지리 현황을 직접 조사, 편찬하였다. 1933년부터 1935년까지 3년 동안 26개 군에 관한 것이 책으로 만들어져 간행 보급되었으나, 나머지는 일본 경찰의 감시와 재정난 등으로 간행되지 못한 상태로 보관되어 오다가 1990년 그 후손이 국사편찬위원회에 기증하여 나오게 되었다.조선 시대 대표적 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31개 항목이 조사되어 있으며, 김정호가 편찬한 『대동지지』에는 42개 항목이 조사, 편찬된 데 비하여 이 지리서는 49개 항목을 조.. 2025. 2. 9.
신편고금사문류취(新編古今事文類聚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2. 8.
[가례(家禮)] 품   명   [가례(家禮)]   24.8. 24.8.인사동경매구 10 24.9한 매 15 가정에서 일용하는 예절을 모아 엮은 [가례(家禮)] 목판본 7卷 2冊 완질본으로 여백을 넉넉하게 두어 큰 책으로 장정하였으며, 일부 장 부분 얼룩 외 기타 보존 상태 양호하다. 22.6×34.8cm 2024. 9. 3.
[광릉세고(廣陵世稿)] 품 명 [광릉세고(廣陵世稿)] 크 기 15.3×22.2cm 시 대 光武十一年 주 기 光武十一年 徽文館 발행 [광릉세고(廣陵世稿)] 연활자본 2卷 單冊으로 충청남도 당진에서 대대로 살았던 광주 안씨 주부공파(主簿公派) 안성(安省.?~1421), 안민학(安敏學.1542~1601), 안로(安輅.1635~1698), 안세광(1683~1764), 안기원(安基遠.1825~1896), 안정원(安鼎遠.1831~1900) 등 6人의 글을 엮어 1907년에 펴낸 문집이며 보존 상태 양호하다.(본문 102p) [광릉세고(廣陵世稿)] 충청남도 당진에서 대대로 살았던 광주 안씨 주부공파 여섯 사람의 글을 엮어 1907년에 펴낸 문집. 『광릉세고(廣陵世稿)』는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신평면 일대에 대대로 살아온 광주 안씨(廣州.. 2024. 3. 1.
이충무공전서 7-14 하 품 명 이충무공전서 7-14 하 23 서 코 171회 구12 크 기 15*21 시 대 일제강점기 주 기 저자 : 최남선 출판사 : 신문관 출판연도 : 1918 초판 〈난중일기 亂中日記〉는 1592년 1월 1일부터 1598년 11월 17일까지의 일들을 기록하고 있다. 백의종군시의 기록 등 몇몇 빠진 부분도 있지만 전투상황과 수군실태 등이 자세하게 나타나 있다. 부록으로는 종자(從子) 분(芬)이 쓴 행록(行錄), 최유해(崔有海)가 지은 행장(行狀), 이항복의 전라좌수영대첩비(全羅左水營大捷碑) 등과 〈기실 紀實〉이 실려 있다. 이 가운데 〈기실〉은 〈명사 明史〉 〈진린전 陳璘傳〉, 〈징비록 懲毖錄〉, 〈지봉유설 芝峯類說〉, 〈난중잡록 亂中雜錄〉 등에서 이순신에 관한 기록만을 자세히 뽑아 엮은 글로 그의 인품과.. 2024. 2. 15.
임충민공실기 의병 품 명 임충민공실기 의병 24.2.인사경매 5구 크 기 15*22 시 대 대정 2년(1913) 주 기 조선 광문회발행 임충민공실기 최남선 저 2024. 2. 15.
권선문 품 명 권선문 24.2. 인사경매 구 크 기 12*18 시 대 병술5월 1916 주 기 한글 필사본 으로 일제강점기 한지에 기록 마지막 수운강성 일백이십오년병술오월상순 필사기가있다 2024. 2. 11.
[이십일도회고시 二十一都懷古詩] 실학자 유득공의 [이십일도회고시 二十一都懷古詩] 한남서림(翰南書林), 大正5년(1916) 25.8x17cm, 29張, 목판본 앞표지 내지에 ‘歌啇樓原本 二十一都懷古詩 翰南書林藏板’이 있고, 뒤표지 안쪽에 판권지가 있다. 이덕무(李德懋)가 교정하였고, 1792년의 자서가 있다. 보존상태 양호하다. 조선 후기에 유득공(柳得恭 1749~1807)이 지은 한시. 칠언절구. 43수로 단군의 왕검성에서 비롯하여 고려조의 송도에 이르기까지 21개의 왕도를 읊은 작품이다. [이십일도회고시]는 유득공이 31세였던 1778년(정조 2)에 [동국지지 東國地志]를 읽고 한 수 한 수 틈틈이 지은 것이다....단군조선의 왕검성 1수, 기자조선의 평양 2수, 위만조선의 평양 2수, 한(韓)의 금마(金馬) 1수, 예(濊)의 강릉 .. 2024. 1. 18.
청구영언 (靑丘永言) 품 명 청구영언 23.12. 부,양 구 6 크 기 14*21 주 기 본서는 1948년 오한근 발행한 책으로 珍書刊行會 한지 연활자본 청구영언(靑丘永言)은 조선 영조 4년(1728)에 남파(南坡) 김천택(金天澤)이 엮었다고 알려진 시조집이다 청구영언’은 조선 후기까지 구비 전승되던 총 580수의 노랫말을 수록한 우리나라 최초의 가집(歌集)이다. 청구(靑丘)는 우리나라, 영언(永言)은 노래를 뜻하는 말로서, 가집은 가곡(歌曲)이라는 우리의 전통 성악곡으로 불리던 시조를 모아 놓은 노랫말(가사) 자료집이다. ‘청구영언’은 조선 후기 시인 김천택(金天澤)이 쓰고 편찬한 책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그의 친필(親筆)인지는 비교자료가 없어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이 책이 완성되기까지 10년 넘게 노랫말을 수집한.. 2024. 1. 6.
선무원조공신녹권 품 명 선무원조공신녹권 (영인본) 크 기 20*30 주 기 선무공신(宣武功臣)은 임진왜란 때 무공을 세웠거나 명나라에 병량주청사신(兵糧奏請使臣)으로 가서 공을 세운 사람에게 준 칭호이다. 선무공신의 경우 정공신은 1등 3인, 2등 5인, 3등 10인으로 모두 18인이고, 원종공신은 9,060인에 이른다. 선무공신에는 모두 18인이 봉해졌는데, 1등에는 이순신(李舜臣)⸱권율(權慄)⸱원균(元均) 등 3인의 장수가 선정되었다. 이들은 관작과 품계가 3단계 올랐으며, 상으로 병졸 10명, 노비 13명, 마부 7명, 전지 1백 50결, 은자 10냥, 말 1필을 받았다. 2등에는 신점(申點)⸱권응수(權應銖)⸱김시민(金時敏)⸱이정암(李廷馣)⸱이억기(李億祺) 등 5인이 선정되었다. 이들은 관작과 품계가 2단계 올랐으며.. 2024. 1. 6.
대산선생실기 품 명 대산선생실기 23.서.코.50구 크 기 22×32.5cm 시 대 乙丑, 1925 주 기 柳致明 선생이 編하여 木板本으로 인출한 李象靖(1711-1781) 선생의 [대산선생실기(大山先生實紀)] 10卷 5冊 완질로 말미에 저蒙赤奮若(乙丑, 1925)秀요節六世孫性求(1861-1926)識의 重刊跋이 있다. 하단부 모서리 훼손 2023.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