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통 예절문화

[스크랩] 청려장

by 골동품 고서 고문서 근대사 갤러리 진품명품 2007. 5. 7.

 

 

 

[儒林 속 한자이야기] (147) 靑藜杖(청려장)

儒林(727)에는 ‘靑藜杖’(푸를 청/명아주 려/지팡이 장)이 나오는데 ‘명아줏대로 만든 지팡이’를 말한다.

‘靑’자는 ‘풀’처럼 푸른색의 鑛石(광석)을 의미한다.用例(용례)로는 ‘丹靑(단청:옛날식 집의 벽, 기둥, 천장 등에 여러 가지 빛깔로 그린 그림이나 무늬),靑雲萬里(청운만리:입신출세하려는 큰 꿈),靑出於藍(청출어람:제자나 후배가 스승이나 선배보다 나음)’ 등이 있다.

‘藜’는 意符(의부)인 ‘艸’(풀 초)와 聲符(성부)인 ‘黎’(검을 려)를 합친 글자.‘黎’는 다시 ‘黍’(기장 서)와 ‘利’(날카로울 리)를 결합했다.‘黍’는 ‘禾’(벼 화)와 ‘水’(물 수)로 이루어졌는데, 벼보다 낱알이 더 흩어져 달려있는 ‘기장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라 한다.

‘藜羹(여갱:명아주 국, 거친 음식),藜杖韋帶(여장위대:아주 검소한 생활을 비유적으로 이름),配藜(배려:낱낱이 흩어져 떨어지는 모양)’등에 쓰인다.

‘杖’의 原形(원형)은 ‘丈’이다.‘丈’은 ‘손에 긴 지팡이를 들고 있는 모양’이다.‘丈’이 점차 十尺(십척)을 가리키는 單位(단위)로 쓰이자 본뜻을 보존하기 위해 만든 글자가 ‘杖’이다.用例로 ‘短杖(단장:짧은 지팡이),盲者失杖(맹자실장:의지할 곳이 없어짐을 비유),錫杖(석장:스님이 짚고 다니는 지팡이),杖毒(장독:매를 심하게 맞아 생긴 상처의 독)’이 있다.

지팡이는 老人(노인)이나 身體的(신체적) 障碍(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짚는 도구. 때로는 權威(권위)의 象徵(상징)이기도 하다. 고대 이집트나 오리엔트의 遺物(유물)에서도 볼 수 있을 만큼 오랜 歷史(역사)를 지니고 있다.‘손위의 사람을 방문할 때에 지팡이를 携帶(휴대)해서는 안 된다.’는 에티켓까지 나왔을 만큼 17세기의 유럽에서는 紳士(신사)의 必需(필수) 액세서리로 脚光(각광)받았다.

‘靑藜杖’이라는 명칭은 漢(한)나라 때부터 유래했다. 유향(劉向)이라는 학자가 심야에 글공부에 전념하고 있을 때, 한 노인이 나타나 지팡이를 내려치자 불빛이 환해졌다는 故事(고사)에서 나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統一新羅(통일신라) 시대에 왕이 長壽(장수) 老人(노인)에게 직접 청려장을 下賜(하사)했다는 記錄(기록)이 전한다.

明(명)나라 때의 藥學書(약학서)인 本草綱目(본초강목)에 따르면 ‘청려장은 中風(중풍)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하며,民間(민간)에서는 神經痛(신경통)에 效驗(효험)이 있는 것으로 전해오고 있다. 청려장은 材質(재질)이 단단하고 가벼우며 모양 또한 기품이 있다. 섬세한 가공과정을 거치면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어 사람들이 즐겨 찾는 回甲(회갑) 膳物(선물) 用品(용품)이기도 하다.

禮記(예기) 王制(왕제)편에는,‘나이가 50세에 이른 노인은 집에서 (지팡이를)짚으며,60세가 되면 고을 안에서,70세가 되면 나라의 수도 안에서,80이 되면 朝廷(조정)에서도 지팡이를 짚고 다닌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이를 제도화하여 노인에게 지팡이를 드리며 無病長壽(무병장수)를 祈願(기원)하였다. 아버지가 50세에 이르면 家杖(가장)이라는 청려장을 드리고,60세 노인에게는 마을에서 鄕杖(향장)을,70세 노인에게는 국가에서 國杖(국장)을,80세가 되면 임금이 朝杖(조장)을 下賜(하사)한 것이다.

김석제 경기도군포의왕교육청 장학사(철학박사

출처 : 국화처럼 향기롭게
글쓴이 : 김세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