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진한장 이야기한줄 수졸재 (守拙齋)

월인천강지곡 월인석보

by 골동품 고서 고문서 근대사 갤러리 진품명품 2007. 8. 26.

 

1963년 9월 2일 보물 제398호로 지정되었다. 대한교과서(주)에서 소유·관리하고 있다. 1447년에 왕명에 따라 수양대군()이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석보상절()》을 지어올리자 세종이 석가의 공덕을 찬송하여 지은 노래이다. 그러나 왕의 측근이었던 김수온()이 왕명을 받들어 지은 것이라는 이설()도 있다. 《월인천강지곡》이란, 부처가 나서 교화한 자취를 칭송한 노래라는 뜻으로, 상·중·하 3권에 500여 수의 노래가 수록되어 있다. 이는 《용비어천가()》와 아울러 훈민정음으로 표기된 한국 최고()의 가사()이다.

이 책의 표기법에 관하여 몇 가지 두드러진 점을 들어보면, ① 당시의 맞춤법은 모두 표음()의 원칙, 즉 소리나는 대로 적는 원칙에 따랐다. 곧, ‘사,바(), 머그니(), 마가()…’ 식으로 풀이씨()와 줄기()와 씨끝()과의 구분이 지켜지지 않고 표기되었는데, 이 책에서는 ‘일이시나, 눈에, 말이시나, 일흠은, 담아, 안아, 안시니이다, 낮과, 곶우흰, 곶비, 맞나며, 깊거다… ’ 등으로 비교적 현대 문법과 가깝다. ② 다른 문헌이 한자()를 앞세우고 그 밑에 한글로 음을 다는 표기법을 채택하고 있음에 비하여, 이 책은 그 위치가 반대로서 한자의 테두리에서 벗어나 독자적으로 한글을 사용하려는 주체성()의 발로였음을 짐작하게 한다. ③ 종성()이 없는 자리에 ‘ㅇ’을 붙이던 당시의 한자음 표기법을 볼 수 없다는 점 등이다.

이는 《용비어천가》 《석보상절》 및 《훈민정음언해()》 등과 함께 정음 창제 당시의 언어연구로서 빼지 못할 자료가 되지만, 《월인천강지곡》의 문학작품으로서의 가치는 예술적인 독창성의 결여 때문에 그다지 높게 평가되지는 못하고 있다. 《월인천강지곡》은 산일되어 상권만이 전하다가 1961년 진기홍()에 의하여 발견되어 3권으로 되어 있었음이 확인되었고, 1962년에 통문관()과 신구문화사()에서 각각 영인본을 간행하였다. 또한 1995년 12월 발견된 《월인석보()》 권25에 새로운 《월인천강지곡》의 시 7수가 수록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본서는 후판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