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수선생년보(眉叟先生年譜)
품 명 미수선생년보(眉叟先生年譜) 23.4.부 양 구 1 크 기 19*28 시 대 주 기 미수 허목(眉叟 許穆, 1595~1682)의 연보(年譜)이다. 허목은 조선 중기의 대학자로서 자(字)는 문보, 화보이며, 본관은 양천이다. 현종15년 이조판서(李朝判書)를 거쳐 우의정(右議政)에 올랐다. 1678년 연천으로 돌아와 저서와 후진양성에 전념, 제가백가와 경서의 연구의 전심, 예학과 고학에 일가견을 이루었고, 그림, 글씨, 문장에 모두 능하였다. 사후에 문정이란 시호를 받았으며, 저서로는 동해사(東海事), 경설(經說)과 기언(記言), 경례류찬(經禮類纂) 등이 있고, 전서에 능하여 동방 제1인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2023. 6. 3.
학재집(鶴齋集)
품 명 학재집(鶴齋集) 23.4.부,양.구 크 기 19*29 시 대 1934 주 기 2권 1책. 석인본. 1934년 6대손 낙식(樂植)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희주(金熙周)의 원서(原序)와 조긍섭(曺兢燮)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낙식의 후지(後識)가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68수, 서(書) 10편, 권2에 잡저 1편, 기(記) 1편, 발(跋) 2편, 애사 1편, 상량문 2편, 축문 1편, 제문 4편, 비명(碑銘) 1편, 부록으로 행장·묘갈명·사우서독(師友書牘)·발(跋) 등이 수록되어 있고, 이어 저자의 아들의 유문인 『임계시고(林溪詩稿)』에 시 28수와 발문이 첨록되어 있다. 시에는 증별(贈別)·화답(和答)의 내용이 많고, 또한 지나온 인생에 대한 회한이 저변에 깔려 있다..
2023. 6. 3.
한강선생봉산욕행록(寒岡先生蓬山浴行錄)
품 명 한강선생봉산욕행록(寒岡先生蓬山浴行錄) 23.3.부.양 구 12 통천군수 임란 이황 영남학파 크 기 20×28.8cm 시 대 曆丁己後二百九十六年(1912)의 鄭在燮敬識, '壬子(1912)暮春檜淵活板'의 刊記 정구(鄭球) 선생의 동래온천 욕행 왕래 기록인 [한강선생봉산욕행록(寒岡先生蓬山浴行錄)] 木活字本 단책으로 말미에 萬曆丁己後二百九十六年(1912)의 鄭在燮敬識, '壬子(1912)暮春檜淵活板'의 刊記, 寒岡先生十三代孫鄭在敎謹識의 後識가 있다. 본문 상태는 양호하다. 시대출생사망경력유형직업대표작성별분야본관 조선 1543년(중종 38) 1620년(광해군 12) 강원도관찰사, 형조참판, 대사헌 인물 문신, 학자 가례집람보주, 창산지, 심경발휘, 역대기년, 고금회수, 의안집방 등 다수 남 역사/조선시대사 ..
2023. 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