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서(古書)264

증보 삼운통고목판 수진 절첩모본 품 명 증보 삼운통고목판 수진 절첩모본 23.4.무,경,구 12 크 기 8*13 시 대 임진맹추 함흥개간 주 기 증보삼운통고(增補三韻通考) 내용 *한자(漢字)를 운(韻)에 따라 주석한 조선시대의 운서(韻書)로 1권 1책이며 저자는 미상이고, 처음 간행된 것은 세종 연간으로 추정된다. 한국의 운서 중 가장 연대가 오래 된 것으로, 조선시대 과장(科場)에서 필요로 한 책이었다. 내용은 사성(四聲) 순으로 배열된 중국의 106운계 《예부운략(禮部韻略)》을 한국 사람이 이용하기 쉽도록 평(平)·상(上)·거성(去聲)을 한데 모아 3계단으로 표시하고 입성자(入聲字)만 책 끝에 따로 모아 간단한 해설을 붙였다. 수록된 한자는 약 1만 자이며, 한글에 의한 표음(表音)은 없고, 자해(字解)도 불과 23자씩으로 간략하게.. 2023. 6. 6.
미수선생년보(眉叟先生年譜) 품 명 미수선생년보(眉叟先生年譜) 23.4.부 양 구 1 크 기 19*28 시 대 주 기 미수 허목(眉叟 許穆, 1595~1682)의 연보(年譜)이다. 허목은 조선 중기의 대학자로서 자(字)는 문보, 화보이며, 본관은 양천이다. 현종15년 이조판서(李朝判書)를 거쳐 우의정(右議政)에 올랐다. 1678년 연천으로 돌아와 저서와 후진양성에 전념, 제가백가와 경서의 연구의 전심, 예학과 고학에 일가견을 이루었고, 그림, 글씨, 문장에 모두 능하였다. 사후에 문정이란 시호를 받았으며, 저서로는 동해사(東海事), 경설(經說)과 기언(記言), 경례류찬(經禮類纂) 등이 있고, 전서에 능하여 동방 제1인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2023. 6. 3.
학재집(鶴齋集) 품 명 학재집(鶴齋集) 23.4.부,양.구 크 기 19*29 시 대 1934 주 기 2권 1책. 석인본. 1934년 6대손 낙식(樂植)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희주(金熙周)의 원서(原序)와 조긍섭(曺兢燮)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낙식의 후지(後識)가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68수, 서(書) 10편, 권2에 잡저 1편, 기(記) 1편, 발(跋) 2편, 애사 1편, 상량문 2편, 축문 1편, 제문 4편, 비명(碑銘) 1편, 부록으로 행장·묘갈명·사우서독(師友書牘)·발(跋) 등이 수록되어 있고, 이어 저자의 아들의 유문인 『임계시고(林溪詩稿)』에 시 28수와 발문이 첨록되어 있다. 시에는 증별(贈別)·화답(和答)의 내용이 많고, 또한 지나온 인생에 대한 회한이 저변에 깔려 있다.. 2023. 6. 3.
한강선생봉산욕행록(寒岡先生蓬山浴行錄) 품 명 한강선생봉산욕행록(寒岡先生蓬山浴行錄) 23.3.부.양 구 12 통천군수 임란 이황 영남학파 크 기 20×28.8cm 시 대 曆丁己後二百九十六年(1912)의 鄭在燮敬識, '壬子(1912)暮春檜淵活板'의 刊記 정구(鄭球) 선생의 동래온천 욕행 왕래 기록인 [한강선생봉산욕행록(寒岡先生蓬山浴行錄)] 木活字本 단책으로 말미에 萬曆丁己後二百九十六年(1912)의 鄭在燮敬識, '壬子(1912)暮春檜淵活板'의 刊記, 寒岡先生十三代孫鄭在敎謹識의 後識가 있다. 본문 상태는 양호하다. 시대출생사망경력유형직업대표작성별분야본관 조선 1543년(중종 38) 1620년(광해군 12) 강원도관찰사, 형조참판, 대사헌 인물 문신, 학자 가례집람보주, 창산지, 심경발휘, 역대기년, 고금회수, 의안집방 등 다수 남 역사/조선시대사 .. 2023. 3. 15.
조선환여승람 동래부 김해편 품 명 조선 환여승람 동래부 김해 23.3.11 크 기 20* 30 주 기 시대저작자창작/발표시기성격유형권수/책수분야소장/전승 조선 이병연(李秉延) 1990년 지리서 문헌 1책 지리/인문지리 국사편찬위원회 요약 이병연이 전국 241개 군 중 129개 군의 인문 지리 현황을 조사하여 1990년에 편찬한 지리서. 내용 1책. 목판 및 목활자본.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1910년부터 1937년까지 전국 241개 군 중 129개 군의 인문 지리 현황을 직접 조사, 편찬하였다. 1933년부터 1935년까지 3년 동안 26개 군에 관한 것이 책으로 만들어져 간행 보급되었으나, 나머지는 일본 경찰의 감시와 재정난 등으로 간행되지 못한 상태로 보관되어 오다가 1990년 그 후손이 국사편찬위원회에 기증하여 나오.. 2023. 3. 14.
오휴당선생문집(五休堂先生文集) 품 명 오휴당선생문집(五休堂先生文集)2권1책완질 안완 (밀양刊)(1922년 목활자본) 23.3.부 양 7 크 기 22*33 주 기 1922년 목활자본으로 경남 밀양의 오휴당(五休堂)에서 간행된 광주안씨인 안완선생의 오휴당선생문집(五休堂先生文集)2권1책완질 상태아주좋으며 파장없음 크기:33*21.6센치 보52-1 **五休堂 安㺬(1569·?)의 詩文集. 1922년 그의 후손 安秉鉉에 의해 慶南 密陽에서 인출되었다. 安㺬의 字는 待之, 號는 五休子, 본관은 廣州이다. 旅軒 張顯光, 寒岡 鄭逑 門下에서 수학했다. 1592년 壬辰倭亂 때 兵馬節度使 金太虛가 蔚山에 주둔하자 이에 종군했다. 난후 공로로 軍器寺副正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經述과 禮學에 열중했다. 특히 天地運回度數, 陰陽消長 이치에는 一家見을 이루었.. 2023. 3. 9.
조선 환여승람(예천군) 품 명 [조선환여승람] 경북 예천군편(醴泉郡篇) 單冊 23.3.대 한.구 13구 크 기 20.8×30.3cm 시 대 1935年 공주(公州) 普文社 주 기 1935年 공주(公州) 普文社 발행 목판/목활자 병용 地誌 [조선환여승람] 경북 예천군편(醴泉郡篇) 單冊으로 보존 상태 양호하다 2023. 3. 9.
정선동래선생박의 구해(東萊博議)3책 품 명 동래박의 (東萊博議) 23.3.부,양 15 구 크 기 20.5*30 시 대 미 상 조선 주 기 宋의 학자인 동래(東萊) 여조겸(呂祖謙.1137-1181)이 [춘추좌씨전]에 기록된 사건들에 대해 자신의 시각으로 분석하고 평론을 가한 일종의 역사 칼럼집이라 할 수 있는 [정선동래선생박의구해(精選東萊先生愽議句解)] 木板本 8卷 3冊 완질본으로 부분적 얼룩 외 기타 본문 상태 양호하다. 2023. 3. 3.
전원문집(田園文集))] 품 명 전원문집(田園文集) 유도헌 23.2.4 한 구 25 크 기 21*30 유도헌 (전원문집(田園文集))]8권 4책. 목판본. 편자와 간행연도는 미상이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유영우(柳永佑)·유승우(柳承佑)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영남대학교 도서관·장서각 등에 있다. 주 기 권1은 시, 권2는 서(書), 권3은 잡저·기(記)·서(序), 권4는 발(跋)·명(銘)·제문·뇌문(誄文), 권5는 고유문·상량문·비문·비명·묘갈명, 권6은 묘갈명, 권7은 묘지명·행장, 권8은 부록으로 제문·만사·행장·묘갈명·묘지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 가운데에는 「등관어대(登觀漁臺)」가 조밀한 솜씨로 짜여져 있다. 잡저에는 「오자서(伍子胥)」·「복왕원묘(濮王園廟)」·「참두건덕(斬竇建德)」·「서중장통낙지론.. 2023. 2. 5.
화산군유적(花山君遺蹟) 의병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2. 5.
안성 방각본 통감 권지제4 권지10-12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1. 29.
간례휘찬 품 명 간례휘찬 크 기 19*30 주 기 사회에서 통용하는 편지투와 그 밖에 편지 서식 거리 을 모아 목판본으로 간행한 [간례휘찬(簡禮彙纂)] 單冊으로 표지 부분 손상이 있으나 본문 상태는 대체로 양호한 편이다. 2023.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