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古書)264 [스크랩] 유중교 선생의 친필 詩稿 및 유중교 선생이 지은 제례통고 유중교 선생의 친필 詩稿 및 유중교 선생이 지짓고 유인석 선생의 발문이있는 제례통고 서명 祭禮通攷(附)服制總要 v1 한글서명 제례통고(부)복제총요 v1 대표서명 표지제한글(한자) 편저자한글(한자) 유중교(조선)편(柳重敎(朝鮮)編) 간행년(서기력) 미상-미상 간행년(왕력) 刊年未詳 간행처 未詳 언어 .. 2007. 5. 9. 설봉서첩 강백년 甲辰年 臨瀛 開刊 1603(선조 36)∼1681(숙종 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 자는 숙구(叔久), 호는 설봉(雪峯)·한계(閒溪)·청월헌(聽月軒). 아버지는 주(&#31826;)이며, 어머니는 안동김씨로 응서(應瑞)의 딸이다. 1627년(인조 5)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정언(正言)·장령(掌令)을 지내고, 1646년에 강빈옥사(姜嬪獄事)가.. 2007. 5. 1. 신익균 선생 御制갱進帖1879(고종 16)∼1939. 조선 후기의 사인. 본관은 평산(平山). 호는 과암(果庵). 신익균(申益均)에 대하여 1879(고종 16)∼1939. 조선 후기의 사인. 본관은 평산(平山). 호는 과암(果庵). 1879년(고종 16) 3월 11일 충주(忠州) 노은(老隱)에서 신태덕(申泰德)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그의 5대조는 영조 때 영의정을 지낸 신회(申晦)이다. 38세인 1916년에 금계(錦溪) 이근원(李根元)을 스승으로 모.. 2007. 4. 29. 자하 신위(申緯)선생 서 화첩 1769(영조 45) 서울~1845(헌종 11). 조선 후기의 문신·서예가·화가. 신위가 그린 〈방대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신위가 초화문이 있는 비단 바탕에 쓴 요화시(조선 후기), ...19세기 전반에 시(詩)·서(書)·화(畵)의 3절(三絶)로 유명했던 문인이며, 시에 있어서는 김택영이 조선 제일의 대.. 2007. 4. 11. 허난설헌문집 1563(명종 18) 강원 강릉~1589(선조 22). 3. 19. 책크기 ;17.5*27쎈치 58장 표지2장 지질 :색지 한지필사본 시 대: 약300년 조선 중기의 시인. 본관은 양천(陽川). 본명은 초희(楚姬). 자는 경번(景樊), 호는 난설헌. 엽(曄)의 딸이고, 봉()의 여동생이며, 균(筠)의 누나이다. 문한가(文翰家)로 유명한 명문 집안에서 태.. 2007. 3. 23. 동의 보감(東醫 寶鑑) 종 목 보물 제1085호 명 칭 동의보감(東醫寶鑑)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활자본/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25권25책 지 정 일 1991.09.30 소 재 지 서울 서초구 반포동 산60-1 국립중앙도서관 시 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중앙도서관 일반설명 | 전문설명 『동의보감』은 선조 30년(1597) 임금의 병과 건강을 .. 2007. 3. 21. 한객건연집(韓客巾衍集) 필사본 조선 후기 북학파의 신진학자 이덕무(李德懋)·유득공(柳得恭)·박제가(朴齊家)·이서구(李書九) 등 4명의 시를 초록한 시집. 1776년(영조 52) 유득공의 작은아버지 유련(柳璉)이 연행(燕行) 길에 가지고 가서 홍대용(洪大容)을 통하여 이미 문통이 있었던 이조원(李調元)·반정균(潘庭筠)의 서문을 얹어 .. 2007. 3. 18. 象村稿(상촌고) 申欽1566-1672 추향당활자 영의정 신흠(申欽,1566-1628)묘 광주시 퇴촌면 영동리 231에 있다.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 평산(平山) 시호 문정(文貞) 자 경숙(敬叔) 호 현헌(玄軒) 상촌(象村) 현옹(玄翁) 방옹(放翁) 아버지는 개성도사 승서(承緖)이며, 어머니는 좌참찬 송인수(宋麟壽)의 딸이다. 어릴 때 송인수와 이제민(李濟民)에게 학.. 2007. 3. 18. 佛說大報父母恩重經 2007. 3. 18. 불설부모은듕경(언해본) 부모은중경>은 부모의 은혜가 한량없이 크고 깊음을 설하여 그 은혜에 보답하도록 가르치는 경이다. 달리 <불설대보은중경>이라고도 한다. 부모의 은혜를 갚기 위해서는 우란분공양을 행하고, 경을 베끼거나 독송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흔히 불교는 부모의 은혜를 모르는 종교라고 생각하기 .. 2007. 3. 18. 국조오례의서례 국조오례의〉에 수록된 의례를 행하는 데 필요한 참고사항과 비품에 대한 도해(圖解)·제작법을 수록한 책. 5권 2책. 목판본. 1474년(성종 5) 〈국조오례의〉와 함께 편찬되었다. 구성은 〈국조오례의〉와 같다. 중요한 내용과 도설을 살펴보면, 길례(吉禮)는 시일(時日)·변사(辨祀)·악장(樂章)·제계(.. 2007. 3. 16. 국조오례의 조선 초기 오례(五禮)를 규정한 예서(禮書). 〈국조오례의〉, 신숙주·정척 등 엮음, 목판본, 장서각도서8권 6책. 목판본. 오례는 국가의례를 말하는 것으로 중세사회에서 오례는 단순한 의례규범이 아니라 국가와 왕실, 왕과 신하와의 관계 등을 규정하는 제도이다. 따라서 조선에서 〈오례의〉는 법.. 2007. 3. 16. 이전 1 ··· 19 20 21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