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의서(漢醫書).학(學)자료24

증보방약합편(增補方藥合編) 품 명 증보방약합편(增補方藥合編)한의학 크 기 19.5*30쎈치 주 기 우리 나라 한의서(漢醫書)의 대표적인 처방집(處方集)인데 원명(原名)은 혜암심서방약합편(惠庵心書方藥合編)이다. 내용 사단중(內容 四段中) 일단(一段)은 약성가(藥性歌), 이단(二段)은 활투상(活套上), 삼단(三段)은 활투중(活套中), .. 2009. 5. 10.
본초강목방초.약성가 .구급방언해.의학입문 신정본초경 .구급방언해.의학입문 신정본초.경본초강목방초.약성가 품 명 구급방(언문)수진본 절첩본 크 기 10*250쎈치 6행16자 목활자본 시 대 조선 허준 주 기 언해구급방》(諺解救急方)은 조선시대 허준이 쓴 위급한 환자를 구하는 응급조치용 약방문(藥方文)을 번역하여 한글로 쓴 목활자본 책이다. 백성들이 쉽.. 2009. 4. 5.
한의학 자료 동의보감 경혈도 단촌신방 등 품 명 단촌신방(丹村新方) 크 기 17*24.5쎈치 연활자1930년충북옥천申曇 著발행 주 기 각종 병을 다스리는 기록유물 품 명 백병구급신방(百病求急新方) 크 기 16*21쎈치 언문 필사본 30장 임진(1892) 주 기 각종병을치료하는데 약초처방을 기록한 의서류 품 명 증도동의보감(增圖東醫寶鑑) 訂正東醫寶鑑. 冊1-.. 2009. 3. 8.
의가단방 증보단방신편 2009. 3. 6.
한의학 기구 자료 2009. 3. 6.
증정도주본초비요(增訂圖註本草備要)본초종신(本草從新) 증정도주본초비요(增訂圖註本草備要)光緖丙午년 5책 중국본15*23.5쎈치 본초종신(本草從新) 16*25.5쎈치7책 완질 1886년 중국본 각종 한방 약초등 그림과 약효 기록 2009. 1. 18.
통속약처방 조선 약종상수험강의록의방강요 품 명 통속약처방 소화9년 1939년 순한글 크 기 13*19쎈치 품 명 조선 약종상수험강의록 소화9년 1939한문 일본어 크 기 14.5*21.5쎈치 품 명 의방강요 간 기 대정6년 1917년 16*21.5쎈치 2008. 9. 7.
의서 언문으로된 경험방 要覽 품 명 언문으로된 경험방 要覽 크 기 21*22.5쎈치 주 기 각종 병을 치료하던 보고듣고 경험한 것을 한글과 한문으로 기록한 책 2008. 8. 22.
활인첩경(活人捷經)태상황정내경옥경(太上黃庭內景玉經) 품 명 표제 구황(救榥) 내용 첫장 활인첩경(活人捷經)醫家妙集 크 기 17*18.5쎈치 필사본 희귀본 음성기록역사관소장 크 기 16.5*28 필사본 Ⅰ 황정경이란? 1. 중국 동진(東晉)시대의 도교경전(道敎經典)이다. 비장(脾臟)을 상징하는 황정(黃庭)을 중심으로 도교적 신체구조론에 바탕 하여, 오장신(五臟神)을.. 2008. 8. 1.
濟衆新方1책 필사본(醫家新方) 각병의 약초로 처방 전을 기록 19*26쎈치 2008. 3. 24.
마진비방(麻疹秘方) 李獻吉(1738-1784) 麻疹治療로 이름 떨친 儒醫 李獻吉은 조선후기에 麻疹의 치료로 명성을 날린 儒醫이다. 그동안 그의 생몰년대와 행적은 분명하지 않았지만, 최근 최진우는 「夢 李獻吉의 생애와 학술 계통」(제7회 한국의사학 학술대회 자료집, 2006, 6, 14)이라는 논문에서 그의 생애와 학술 계통에 대.. 2008. 2. 21.
의림촬요.동의보감 .의학입문. 향약집성방. 구황촬요 .경험방. 집성마의방 1799년(정조 23)에 편찬된 의서(醫書). 구분 활자본, 의서 저자 강명길 시대 조선시대(1799) 본문 활자본. 8권 5책. 조선 정조 때의 의관(醫官) 강명길(康命古:1737∼1801)이 왕명을 받아 고금의 의서를 참고하여 만들었다. 편자의 발문(跋文)에 의하면, 주로 허준(許浚)의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수정을 가한.. 2008. 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