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古書)264 방촌 선생실기4권2책 황희 [黃喜, 1363~1452]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에 은거했으나, 이성계의 간청으로 다시 벼슬길에 올라 18년간 영의정에 재임하면서 세종의 가장 신임받는 재상으로 명성이 높았다. 인품이 원만하고 청렴하여 모든 백성들로부터 존경을 받았으며, 시문에도 뛰어나 몇 수의 시조 작품도 전해진다. 본관.. 2007. 9. 3. 충재선생일고 (忠齋先生逸稿)4권2책 품 명 충재선생일고 (忠齋先生逸稿)4권2책 크 기 20.7*32쎈치 목판본 주 기 沖齋先生逸稿(奎1688), 權撥(朝鮮)著. 1冊(85張) 木板本 四周雙邊 半郭:20.1×16.3cm. 有界 10行 20字 版心:上下魚尾. 沖齋 權撥(1478∼1548)의 遺文集. 그가 죽은지 120여년 뒤인 1671년(顯宗 12) 그의 宗孫 ?? 등의 주선으로 간행되었다. 權撥.. 2007. 9. 3. 통감요해(通鑑要解)상하2책 표제/저작사항 通鑑要解. 上, 下 / 판사항 木板本 발행사항 [刊寫地未詳] : [刊寫者未詳], [刊寫年未詳] 형태사항 2卷2冊 : 四周單邊 半郭 21.0 x 19.5 - 16.0 x 13.0 cm, 不同行不同字 註雙行, 內向2葉花紋魚尾 ; 28.5 x 25.0 - 19.3 x 16.0 cm 주기사항 下卷名: 通鑑五十篇詳節要解 2007. 9. 3. 삼경사서정문 중 書傳상하1책 三經四書正文(奎중566), 尊賢閣(朝鮮) 校正 秘書館新鐫 10卷5冊 古活字本(壬辰字) 35×22.4cm. 四周單邊 半郭:24 8×16.9cm. 10行 1行 18字 注雙行. 版心:上花紋魚尾. 四書와 三經의 正文만을 수록한 책이다. 1775년(英祖 51)에 尊賢閣에서 校正하고 秘 書閣에서 新鐫하여 간행하였다. 그리고 註釋을 하나도 붙이지.. 2007. 9. 3. 원주이씨세보2권2책 품 명 원주이씨세보2권2책(原州李氏世譜) 크 기 23.5*34.5쎈치 간기 1769년 목활자 주 기 숭정기원후3 己丑季春引成于砥平廣巖의간기가있고 걷표지가없다 서 문 原州 李氏 己丑譜 序文 우리고장의 큰선비 이덕후(李德 : 교리공파 25세)가와서 나에게 말하기를 "우리는 慶州李氏에서 原州로 이관(移貫)되었.. 2007. 9. 2. 원주이씨족보8책중6책 품 명 원주이씨세보(原州李氏世譜권지1.3.5.6.7.8)8책중6책 크 기 23.6*37쎈치 목활자 주 기 甲寅 仲春 砥平開刊(1854년) > 본관 및 시조의 유래 원주(原州)는 강원도 원성군에 위치한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는 평원군이라 불렸고, 서기 940년(고려 태조 23) 원주로 고쳤다. 그후 일신현,·정원도호부,·익흥도.. 2007. 9. 2. 따지본 소설 탄금대 대정12년 2007. 8. 26. 향음주례 백과사전 홈 > 생활과 레저 > 생활 > 풍속 및 민속 > 민간전승 향음주례 [鄕飮酒禮] 요약 매년 음력 10월에 개성부·제도(諸道)·주(州)·부(府)·군(郡)·현(縣)에서 길일을 택하여 고을의 유생(儒生)이 모여 술을 마시며 잔치한 예절. 본문 고을의 관사(官司)가 주인이 되어 연고(年高)하고 유덕(.. 2007. 8. 26. 당화사주(唐畵四柱) 당나라 시대 이허중의 일종의 점술서에서 비롯되었는데 당사주란 이름은 우리나라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당사주가 우리나라에 건너오면서 색깔을 넣은 그림까지 첨가해 누구나 쉽게 볼 수 있었는데 한글만 읽으면 책을 보고 누구나 쉽게 운명을 감정 할 수 있었다는 조선시대 기록이 있습니다. 또.. 2007. 8. 9. 우복선생문집권지9/10권1책15/16권1책17/18권1책 愚伏先生文集(奎1640), 鄭經世(朝鮮)著. 20卷·別集 12卷 合 16冊 木板本 32×22cm. 四周雙邊 半郭:20.5×16.1cm. 有界 10行 20字. 版心:上下花紋魚尾. 愚伏 鄭經世(1563∼1633)의 詩文集으로 原集은 1657년(孝宗 8)에 初刊, 1844년(憲宗 10)에 重刊했는데 別集은 1899년(光武 3)에 후손 鄭夏默이 原集과 함께 追補 간행했.. 2007. 8. 2. 상촌 신흠선생문집 권지14-16권1책 추향당활자 신흠[申欽] 본문 1566(명종 21)~1628(인조 6). 조선 중기의 문인·정치가. 이정구(李廷龜)·장유(張維)·이식(李植)과 함께 '월상계택'(月象谿澤)이라 통칭되는 조선 중기 한문사대가(漢文四大家)의 한 사람이다.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경숙(敬叔), 호는 상촌(象村)·현헌(玄軒)·방옹(放翁). 아버지는 개성.. 2007. 8. 2. 퇴계 이황선생문집권지24-25권1책 퇴계 이황선생문집권지24-25권1책 琴思愼 의소장본 퇴계선생문집 ≫은 1599년(선조 32)에 문인 조목 등에 의하여 수집·간행된 후에 누차 중간본이 나왔다. 이 책은 ≪퇴계전서≫란 이름으로 1915∼16년 조선고서간행회에서 간인(刊印)된 적이 있고 1958년 대동문화연구원에서 영인본으로 간행된 것도 전해.. 2007. 8. 2. 이전 1 ··· 17 18 19 20 21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