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古書)264 송서습유 조선 숙종 때의 문신 송시열(宋時烈:1607~1689)의 저서. 소장처 음성기록역사관 소장 본문 목판본. 9권 4책.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송자대전(宋子大全)》 중에 누락된 시문(詩文)들을 9대손 병선(秉璿)이 여러 문헌에서 찾아내어 편찬한 것이다. 《송서습유》라는 책 이름은 중국 송(宋)나라의 주희(朱熹).. 2008. 1. 7. 古今歷代標題主釋十九史略通考(고금역대표제주석십구사략통고).언해 품 명 古今歷代標題主釋十九史略通攷.언해 크 기 22*34쎄치 목판본 10권8책 .언해2권2책 주 기 발문 후미 鄭昌順 歲在壬辰嶺營新刊 2007. 12. 28. 연曺龜鑑(연조귀감) 품 명 연曺龜鑑 크 기 20.5*31쎈치 목활자본 이진흥 19c 주 기 목활자본본. 3권 2책. 음성기록역사관등 소장. 조선 후기에 향리들이 한층 성장한 실력과 의식을 바탕으로 신분적 제약을 벗어나 사회적 진출을 도모하는 분위기에서 나온 책이다. 원래 영조 말에서 정조 초년에 편찬되었으며, 이진흥의 증손.. 2007. 12. 28. 화서아언(華西訝言) 화서아언 [華西雅言] 요약 조선 후기의 학자 이항로(李恒老:1792~1868)의 문집(文集). 구분 문집, 필사본 저자 이항로 시대 조선 후기(1874) 본문 목판본. 12권 3책. 이항로의 수고(手稿)와 경서(經書)에 대한 견해를 기록한 <가정습록(家庭拾錄)>과 그 제자들의 어록(語錄)을 함께 모아 김평묵(金平默)과 .. 2007. 12. 23. 완당유묵 품 명 완당유묵(추사 김정희) 크 기 320*31쎈치 절첩본 탁본 주 기 조선 후기의 서화가·문신·문인·금석학자. 1819년(순조 19)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대사성, 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학문에서는 실사구시를 주장하였고, 서예에서는 독특한 추사체를 대성시켰으며, 특히 예서·행서에 새 경지를 이.. 2007. 12. 23. 완당척독 .담연재시고(阮堂尺讀 .潭연齋詩藁) 표제/저작사항 阮堂尺牘. 卷1-2 / 金正熹(朝鮮) 著 ; 南秉吉(朝鮮) 編 판사항 金屬活字本(全史字) 발행사항 [刊寫地未詳] : [刊寫者未詳], 高宗 4(1867) 형태사항 2卷2冊 : 四周單邊 半郭 21.5 x 14.9 cm, 10行20字, 上白魚尾 ; 30.0 x 19.3 cm 주기사항 序: 歲在丁卯(1867)...南秉吉 편저자한글(한자) 김정희(조선)저(金正.. 2007. 12. 12. 우리나라 최초잡지 소년(小年)최남선 창간호 복사본 과 진본의 구분 2007. 12. 6. 딱지본 (얘기책) 일제강점기 간행 이야기책 2007. 12. 5. 여흥민씨족보5권5책 5권5책 크 기 22.5*35쎈치 목활자본 충주발행 1851년 발문 崇禎4辛亥저자 민치경후손 2007. 10. 13. 증보 산림경제 권지1/3권1책 품 명 증보 산림경제 권지1/3권1책 크 기 19*26쎈치 필사본 시 대 약150년 주 기 조선 영조 때 내의(內醫) 유중림(柳重臨)이 홍만선(洪萬選)의 〈산림경제〉를 증보하여 엮은 농서. 16권 12책. 필사본. 1766년(영조 42)에 완성했다. 유중림은 본관이 문화(文化)이고 호는 문성(文城)으로, 태의원(太醫院) 의약(醫.. 2007. 9. 19. 1911년 충청북도지도 거곡면 감미면 지도 2007. 9. 7. 숭정기원후4 무신증광사마방목1835 운각활인 2007. 9. 3.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다음